CBR과 VBR의 코딩 차이점
CBR(Constant Bit Rate) 인코딩 고정비트전송률 인코딩 방식입니다.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와 라이브 인코딩이나 브로트캐스팅 인코딩을 위해 사용합니다. CBR 인코딩을 사용하면 버퍼 크기에 의해 설정된 시간 내에서 비트 전송률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전체 스트리밍에서 목표 비트 전송률에 가깝게 대역폭을 유지해줍니다. 뒤에 설명하겠지만 1-Pass와 2-Pass 인코딩 방식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1-Pass 인코딩 시간이 비교적 빠르기 때문에 많은 작업량을 소화해야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채택하게 됩니다. 그러나 전체 영상에 고정적인 대역폭을 단순히 나눠주기 때문에 화면의 움직임이 다양한 소스를 인코딩 시 화면의 스트리밍 품질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죠. 일반적으로 mms(Micr..
2006.05.05